안녕하세요. 일루넥스 박진혁입니다.
오늘은 저도 개발 분야 쪽 블로그를 올려봅니다. ( 평소에 늘 관심을 가지고 있던 블록체인 관련 된 내용입니다. 😁 )
일루넥스는 사업 초반 블록체인 관련 기술에 굉장히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순전히 개발자적 소양으로 …비즈니스 따윈 개나줘버렸던;;; 과거 전 무조건 개발 우선이였습니다;;)
그리고 관련 비즈니스를 위해서 다양한 시도를 수행해왔습니다.
실예로 Steem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KPOP 관련 콘텐츠를 공유해주는 User 에게
Steem 토큰 보상을 주는 프로젝트를 2019년에 진행을 했었습니다. 이름하야 KPOP-Steem~~!!!!
관련 프로젝트는 국내 최초는 아니지만 몇 안되는 블록체인 Dapp 이였으며, 저희쪽 프로젝트에 관심있어 하는 주위 투자자들도 몇 몇 분이 계셨었습니다. (결국 투자는 안하셨지만^^;;)
또한 퍼블릭 블록체인에 대한 사회적 불안감이 커지고 있을 무렵엔 프라이빗 하이퍼레저 블록체인을 Effectmall 에 접목하기 위해서 관련 연구 및 시도를 진행해왔었습니다.
하지만 그 시절, 아시다시피 블록 체인에 대한 정부 규제가 시작되고 그로 인해 스타트업이 블록체인 관련 프로젝트를 한다고하면
사기꾼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만 갔고요. 투자는 커녕 비웃는 사람들도 많이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저희도 이런 규제와 시회적 인식으로 인해서 저희의 주력인 effectmall 플랫폼의 비즈니스 영역에서 블록체인 관련 내용을 제외시킬 수 밖에 없었고요,
새롭게 프로젝트를 전면 재편하고 B2B에서 B2G로 플랫폼 온프레미스 사업을 진행을 하고 있습니다.
( 이 때 정말 고생을 많이한 것 같네요;; 비즈니스 자체를 바꾸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
어찌되었던 이렇게 블록체인 관련 Dapp 시장은 찬밥 신세를 지고 있으며,
아직도 단순히 토큰 거래만 일어나고 투기꾼들의 놀이터로 전락해버린 거래소만 유일하게 큰 돈을 벌고있습니다.
이런 시장환경에서 요즘 블록체인 업계에서 가장 HOT 한 뉴스 있습니다.
바로 디파이(DEFI) 입니다.
그리고 디파이로 인해서 그간 황제처럼 군림해온 토큰 거래소는 요즘 꽤~(?) 힘들어하고있습니다.
그러면 Defi 에 대해서 차근차근 알아보고 실제로 DEFI 프로젝트에 대한 코딩과 테스트를 약 3강 동안 진행해보고 Defi 관련 개발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디파이는 탈중앙화 금융(DeFi) 이라고 부릅니다. 탈중앙 금융(Defi) 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위에서 작동하는 금융 애플리케이션 생태계를 말합니다.
탈중앙이라는 말이 들어간 걸 보면 블록체인 이을 한번이라도 접해본 사람은 바로 느낌이 오실 것 같네요.
바로 누군가가 금융에 대해서 통제하지 않고 모든것이 컨트랙트상에 노출된 내용대로만 금융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그러던중 나온 새로운 개념이 DeFi 입니다.
토큰을 사고 파고 하는 거래소만 엄청난 수수료를 챙기고, 거래소의 운영 주체가 시세 조작과 같은 부정 행위들이 끊이지 않았었습니다.
생각해보세요. 블록체인은 탈중앙화, 고보안성의 특성으로 인해 페이팔, 신용카드보다 더 안전하고 사적이면 검열이 불가합니다.
하지만 블록체인 Token 이 중앙 집권하된 거래소에서 사고 팔고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거래소에서 토큰이 거래되는 순간
토큰의 탈중앙성은 무시되고 마음되로 조작될 위험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 당국의 참견과 법적이슈로 부각되게 됩니다.
자 이러한 말도 안되는 상황에서 DeFi 는 모든 문제를 종식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바로 거래소에 의존하지 않고 분산형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서 토큰 소유자가 자신의 토큰을 활용하여 대출을 받거나
이자를 받을 수 있는 분산형 금융을 의미합니다. 분산형 응용 프로그램이라고해서 무언가 또 엄청난 시스템처럼 들리나요?
자 원래 이론과 서론은 거창한 법. 그러면 어떤 분산형 응용 프로그램이 있는지 알아보도록하죠.
아래 3가지 DeFi Dapp 을 소개한다. Defi 는 처음 Ethereum 에서 나온 개념이였고 ERC20을 함께 사용하는 Tron도
곧바로 Defi 생태계확장을 위한 개발을 진행하였고 관련된 프로젝트들이 속속 나오고 있는중이다.
본 블로그에서는 이미 너무도 많은 Ethereum Defi 보다는 이제 막 활활 타오르고 있는 Tron Defi 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하느냐? 주저리 주저리 설명을 많이 했는데…걍 아래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TronLink 지갑을 크롬 익스텐션으로 설치하고 가지고 있는 토큰으로 예치(?)하면 참여됩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아래 DeFi Dapp 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Stable Token 으로
보상(Reward)이 이루어지고 해당 보상을 Dex 가서 원하는 Token 으로 교환하면 됩니다. 참 쉽죠잉…~
https://jackpool.finance/
https://carr.finance/farms/CRT_TRX
https://sushiswapclassic.org/
위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에서 그럼 어떻게 토큰을 예치하는지 다음 장에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어떻게 돈이 되는건지? 돈을 잃지는 않을지? 에 대해서도 알려드릴게요.
Tron 디파이 생태계는 아직 시작단계라는게 아주 좋은 소식입니다.
그리고 블록체인에 관심이 많았던 개발자라면 그간 토큰 생성하고 토큰 송금 정도만 해보았을텐데,
그간 생겨난 새로운 개념들을 한번에 습득하실수있는 기회도 될거같네요.
그리고 약간의 잔머리가 있으신 분들은 어디에든 활용할 수 있겠네요.
주저리주저리 쓰다보니 말만 많이 했네요.
다음 장에서는 실제로 운영중인 JackPool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의 Defi 코드에 대해서 분석해 보도록 할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