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 새로운 플러그인을 ‘깃발’ 플랫폼 내에 출시하였습니다. 이름하야~ ‘APPLY 심사’ 플러그인입니다.
투자사는 좋은 스타트업을 딜소싱하기 위한 기본적인 방법으로 홈페이지를 통해 Apply 지원을 받고있는데요.
대부분의 투자사는 이메일 지원을 통해서 지원 양식을 받거나 또는 구글 폼을 통해서 스타트업에게 투자 지원 양식을 받고 있었습니다.
아래 본엔젤스와 KAKAO 벤처스의 투자 심사 요청은 어떤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본엔젤스의 홈페이지 내 투자심사 요청 이메일 안내]
[카카오벤처스의 투자심사 요청 이메일 안내]
COVID-19 로 인해서 언택트 문화(?)가 사회적으로 주목 받고 일상 생활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때문에 과거의 투자 수단인 오프라인 미팅을 통한 투자자 미팅은 스타트업과 투자자에게 이제는 별로 매력적이지 않아 보입니다.
불과 작년 12월 (2019년) ‘깃발’을 개발하기 전에 어떤 투자자 분께 “온라인 투자 심사가 가능한 투자 플랫폼을 개발하려고 합니다.“
라고 말씀드리니까 그분께서는 투자심사는 사람과 사람이 눈과 눈을 마주치고 직접 보고 판단해야 더 좋은 판단을 할 수있다고 하면서..
온라인 투자 심사가 그리 좋아 보이지 않는다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
하지만 이제는 투자 심사도 언택트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일루넥스는 지속적으로 장기화 되는 COVID-19 사태가 기존의 오프라인 대면 투자 심사에 분명히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최종적인 투자를 위한 필수 불가결한 상황이 아닌이상에야 더 이상 불 필요한 오프라인 미팅은 줄어들 것이며,
이로 인해 스타트업의 시간과 리소스를 아끼고 안전성까지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고민될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스타트업들은 투자 요청을 위해 투자사들의 지금의 이메일 또는 구글폼을 활용한 비대면 심사 요청을 자주 활용할 것이고,
투자자는 수 많은 투자심사 요청에 대해서 적절한 심사역을 배정하고 심사결과를 저장/관리 해야하는 이슈가 생기게 될 것입니다.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깃발’의 [Apply 지원] 플러그인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선보 엔젤 파트너스는 에서는 기존 이메일을 통해서 지원 받았던 투자 심사 요청을 ‘깃발’ 에서 제공하는 동적 폼을 통해 투자 심사 요청을 받고 있습니다.
위 APPLY 심사 버튼을 클릭하면 ‘깃발’ 에서 제공된 동적 심사 요청폼을 통해서 스타트업들은 투자 심사 요청을 보내게 됩니다.
깃발 플랫폼에서는 위에서 작성된 스타트업들의 지원 사항들이 실시간 반영되고 심사역 배정과 결과 관리까지 한번에 관리합니다.
배정 된 심사역은 해당 스타트업의 지원 내용을 확인하고 관리자가 동적 생성한 심사 평가 항목에 대한 점수 부여를 진행하고 종합 평가까지 작성하고 평가를 마무리합니다.
(반드시 점수를 부여 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상 오늘은 간단히 [Apply 심사] 플러그인에대해서 간단한 설명과 활용성에 대해서 설명을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